온라인에서 수익화를 이루려면

먼저 온라인 문법을 이해 해야만 한다.


그중에서 광고와 관련된 단어는 선택이 아니라

필수라고 할 수 있다.


경제신문을 보겠다고 하고선

경제 용어를 모르면 외계어 신문을 보는 것과 같은 것 처럼


온라인으로 사업을 하고 있다면,

(이커머스 이던 SNS를 활용하던, 모든 플랫폼 모두다~)

광고용어는 꼭 알아 둬야만,


각 플랫폼의 생태계를 이해함은 물론

앞으로 어떻게 내 온라인 플랫폼을 키워갈 수 있을지 방향성을

알 수 있다.


전쟁터에 나가면서 총들고 총알을 안 들고 나갈 수 는 없지 않은가?



광고용어를 하나하나 다 알아두면 좋겠지만,

내 생각에는 요정도만 알아둬도,

적어도 광고대행사를 만나서 조금더 정확한 견적을 의뢰하거나

본인이 직접 광고를 집행 할 수 있지 않을까?


조금 편하게 보시라공

친절하게 이미지로도 편집해 놨으니


많이 많이 퍼가세요^^



- CPC (Cost Per Click)

  : 광고를 클릭한 횟수당 광고비 발생이 이뤄지는 광고 방식


- CPA (Cost Per Action)

  : 광고를 보고 들어온 사람이 회원가입, 설문조사, 다운로드 등 행동을 취할 때 과금


- CPM (Cost Per Mile)

  : 해당 광고가 1,000번 노출될 때 광고비가 발생하는 광고 방식


- CPP (Cost Per Period)

  : 계약된 기간 동안 광고를 노출 시켜주는 광고 방식


- CPS (Cost Per Sale)

  : 광고를 통해 유입된 소비자가 해당 상품을 구매했을 때 광고비가 발생하는 광고


- 랜딩 페이지

  : 광고를 집행하여 연결된 후 보여지는 영역


- 도 달 률

  : 광고를 통해 도달한 시청자 수를 판단하는 기준


- 전 환 률

  : 광고를 통해 유입된 소비자가 광고주가 의도한 행동을 취한 비율


- 어 뷰 징

  : 의도적으로 클릭수를 늘리기 위해 조작한 오용.남용.폐혜


- 로그분석

  : 방문객이 남긴 자료를 근거로 웹의 운영 및 방문 행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것


- DAU(Daily Active Users)

   : 하루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 이용자 수를 나타내는 지표


- MAU(Monthly Active Users)

  : 한달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 이용사 수를 나타내는 지표


- PV(Page View)

  : 사용자가 사이트 내 웹페이지를 열람한 횟수


- CTR(Click Through Ratio)

  : 인터넷 상에서 배너 하나가 노출될 때 클릭 되는 횟수. 보통 클릭률이라고 함


- CPI(Cost Per Install)

  : 광고 상품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기기수에 따라 광고비 지불하는 방식


- 리스팅 광고

  : 검색사이트에서 입력된 단어와 가장 관련 있는 단어를 찾아 기재하여

    검색 순위를 높여 고객을 유도하는 광고 유형


- 리치 미디어 광고

  : 너 광고를 보다 풍부하게 만든 멀티미디어 광고 (마우스 올리면 변하는 광고 등)


- 네이티브 광고

  : 광고 내용을 기사나 정보성 글인 것처럼 가장해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방식


- 리타게팅 광고(프로그래매틱 광고)

  : 한번 자사의 홈페이지 또는 페이지를 방문한 고객이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더라도

    그 상품 또는 광고를 배너 광고식으로 노출시켜주는 광고 (쿠키 수집 맞춤광고)


오늘 꿀팁 이상!!^^


더 많은 정보는 지미노트 네이버 카페로 오시면 더 많이 공개하고 있어요~



+ Recent posts